Whois서버와 DNS서버로 조사하기
✔ Whois서버가 무엇인지 알고 사용하기
✔ DNS서버의 구조와 동작원리 이해
✔ DNS서버의 취약점 이해 및 이를 이용해 정보 획득
Whois서버
- 도메인 확인, 도메인과 관련된 사람 및 인터넷 자원을 찾아 보기 위한 프로토콜
Whois서버로 얻을 수 있는 정보
- 도메인 등록 및 관련 기관 정보
- 도메인 이름과 관련된 인터넷 자원 정보
- 목표 사이트의 네트워크 주소와 IP주소
- 등록자, 관리자, 기술 관리자의 이름, 연락처, 이메일 계정
- 레코드의 생성 시기와 갱신 시기
- 주 DNS서버와 보조 DNS서버
- IP주소의 할당지역 위치
Host파일
# Copyright (c) 1993-2009 Microsoft Corp. # # This is a sample HOSTS file used by Microsoft TCP/IP for Windows. # # This file contains the mappings of IP addresses to host names. Each # entry should be kept on an individual line. The IP address should # be placed in the first column followed by the corresponding host name. # The IP address and the host name should be separated by at least one # space. # # Additionally, comments (such as these) may be inserted on individual # lines or following the machine name denoted by a '#' symbol. # # For example: # # 102.54.94.97 rhino.acme.com # source server # 38.25.63.10 x.acme.com # x client host
# localhost name resolution is handled within DNS itself. # 127.0.0.1 localhost # ::1 localhost
'ip주소 도메인명 [별칭]'으로 등록이 가능하다. |
※ip주소와 도메인명을 다르게 입력해두면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지 못하거나, 가짜 사이트로 접속하게 된다. (피싱)
호스트 파일의 구조
IP주소 |
도메인 이름 또는 임의의 명칭 |
- 보통 호스트 파일을 비어있음
- 특정 서버에 접속하고자 할 때 유용
218.38.58.195 hanbit.cp.kr hanbit
을 등록시 cmd에서 ping명령어로 도메인명을 전부 입력하지 않고 ‘ping 별칭’으로 도 가능하다.
※ 잘못된 주소를 등록하여 사이트 접속 차단하기
200.200.200.200 www.hanbit.co.kr
위와 같이 host에 등록 후 접속 시도 시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다는 화면이 뜬다.
DNS : 숫자로 구성된 IP주소를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명칭인 도메인 이름으로 상호 매칭 시켜주는 것
DNS의 계층구조
- 가장 상위 개체 ‘.’(root)
- 두번째 개체는 국가와 조직체의 특성
- 보통 맨 앞은 서버의 특징 같은 www, ftp등 서버의 이름이 옴
항목 |
내용 |
항목 |
내용 |
com |
영리 기관 |
mil |
군사 기관 |
net |
네트워크 기관 |
edu |
교육 기관 |
org |
비영리 기관 |
int |
국제 기관 |
gov |
정부 기관 |
kr, jp, nz 등등 |
국가 이름 |
운영체제별 DNS서버 등록
168.126.63.1~2 : KT, 8.8.8.8 : Google
- 리눅스 : /etc/resolv.conf 파일에 DNS서버 입력
- 윈도우 : 인터넷 프로토콜 등록 정보에서 DNS서버 두개까지 입력 가능
<고급> 버튼 클릭시 세부설정도 가능
현재 운영 중인 DNS서버 확인 : cmd에서 ipconfig /all입력
시스템에 캐시된 DNS정보 확인 / 삭제
- 정보 확인 : ipconfig /displaydns
- 정보 삭제 : ipconfig /flushdns
DNS 서버의 구분
- 주 DNS서버 : 도메인의 중심 DNS서버
- 부 DNS서버 : 주 DNS서버의 백업 서버
- 캐시 DNS서버 : 주서버와 부서버에 대한 접속이 불가능 할 때를 대비한 임시 DNS서버
DNS 레코드의 종류
종류 |
내용 |
A(Address) |
호스트 이름 하나에 이름IP 주소가 여러 개 있을 수 있고, IP주소 하나에 호스트 이름이 여러 개 있을 수 있다. 이를 정의하는 레코드 유형이 A |
PTR(Pointer) |
A레코드와는 반대로 A레코드는 도메인에 IP를 부여하지만 PTR레코드는 IP주소에 도메인을 매핑함 |
NS(Name Server) |
DNS서버, 각 도메인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있어야 함 |
MX(Mail Exchanger) |
도메인 이름으로 보낸 메일을 받은 호스트 |
CNAME(canonical Name) |
호스트의 별칭 |
SOA(Start Of Authority) |
도메인에 대한 권한이 있는 서버 |
HINFO(Hardware Info) |
해당 호스트의 하드웨어 사양 표시 |
ANY(ALL) |
DNS레코드 모두 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