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이트 번역 더보기 문제 페이지의 설명을 보면 데자뷰같냐는 말이 적혀있다. 아래의 암호문은 다음과 같다. 6f666cf793be4ad0cea7c52cd7cd228f 무슨 암호화가 되어있는지 확인해보았다. MD5일 확률이 높다고 나온다. MD5를 사용해 디코딩을 해보면 mirage라는 문자열이 결과로 나온다. 정답을 입력해보았다.
> 사이트 번역 더보기 문제를 보면 아래의 문자열들을 디코딩해야한다고 적혀있다. DW EGL VW HSKKW HGMJ NSDAVWJ WKL LGML KAEHDWEWFL UWKSJ ESAK SNWU MF S WF HDMK WFLJW DW U WL DW W 해당 문자열을 quipquip 사이트에서 해독해보았다. LE MOT BE PASSE POUR VALIBER EST TOUT SIMPLEMENT CESAR MAIS AVEC UN A EN PLUS ENTRE LE C ET LE E 라는 결과가 나왔다. 위 문자열을 해석하면 결과 값은 CESAR 이며, C와 E 단어 사이에 한글자가 더 들어간다고 한다. 카이사르 시저 암호와 관련된 카이사르(CAESAR)로 추측된다. 알아낸 값을 입력해보았다. 문제가 풀렸다.
> 사이트 번역 더보기 문제 페이지를 보면 계산을 하라는 문자열이 보인다. Épreuve 공간을 보면 테스트 버튼 하나가 존재한다. 해당 버튼을 누르면 패스워드를 입력하라는 아래와 같은 창이 뜬다. 패스워드 값이 틀리면 다시 시도하라는 창이뜬다. 문제 페이지의 소스코드를 확인해보았다. 소스코드를 뜯어보았다. 문제 페이지의 소스코드를 다운받고, alert()를 사용하여 해당 값을 출력하도록 했다. 숫자 192에서 더이상 창이 뜨지 않았다. 확인을 위해 변경했던 코드 부분은 아래와 같다. 알아낸 값을 입력해서 다시한번 확인했다. Validation 공간에 obsession 값을 넣어보았다. 문제가 풀렸다.
> 사이트 번역 더보기 해당 문제 페이지를 보면 Liens 라는 공간에 링크하나가 보인다. 링크를 누르면 패스워드가 무엇이냐고 묻는 아래 창을 볼 수 있다. 만약 패스워드가 틀렸다면 아래 창을 띄운다. 해당 프롬프트 창을 띄우는 페이지의 소스코드를 확인해보았다. 스크립트로 보이는 소스 코드가 주석처리되어있다. 또한 당연히 앞에서 보았던 창의 문자열과도 다른 내용이다. 대신 그 위의 헤더부분을 보면 .js 파일을 첨부하고 있다. 첨부하고 있는 /epreuves/javascript/type.js 파일을 확인해보았다. 해당 파일의 소스코드는 다음과 같다. obsession 이라는 값을 패스워드로 입력하면 ep10itsgood.php 페이지로 이동한다는 내용이다. 해당 페이지로 바로 이동해보았다. 패스워드를 입..
> 사이트 번역 더보기 해당 문제 페이지를 보면 Liens 라는 공간에 링크하나가 보인다. 링크를 누르면 패스워드가 무엇이냐고 묻는 아래 창을 볼 수 있다. 만약 패스워드가 틀렸다면 아래 창을 띄운다. 해당 프롬프트 창을 띄우는 페이지의 소스코드를 확인해보았다. 소스코드를 보면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비교하여 결과 창을 띄우는 코드로 보인다. 그리고 chain의 길이를 구해 nb에 넣는다. 그 후 nb의 값을 toString(2) 를 사용하여 2진수로 변환한다. ⇒ 52 → 0011 0100 → 110100 110100 값을 패스워드로 입력해보았다. 패스워드가 맞았다고 하니 Validation 공간에 110100 값을 넣어보았다. 문제가 풀렸다.
> 사이트 번역 더보기 해당 문제 페이지를 보면 앞에서 풀었던 문제들과는 다르게 정답 입력을 위한 Épreuve 공간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바로 문제 페이지의 소스코드를 확인해보았다. 소스코드가 매우 많지만 확인해보았다. 문제 내용을 보면 자바스크립트에 대한 말을 하고 있으므로 부분들을 확인해보았다. 쭉 내리던 중 form 태그 중 password 항목의 코드 부분을 발견했다. password의 값이 hacked로 저장되어 있다. Validation 공간에 hacked 값을 넣어보았다. 문제가 풀렸다.
> 사이트 번역 더보기 해당 문제의 소스코드를 보면 gre 값을 %72%69%6D%62%61%75%64 값과 비교하는 것을 볼 수 있다. %72%69%6D%62%61%75%64 는 ASCII 값으로 추측된다. rimbaud 라는 문자열이 나온다. Épreuve 공간에 rimbaud 값을 넣어보았다. 그럼 암호가 맞다는 창이 뜬다. 정답 입력 공간에 다시 rimbaud 를 입력했다. 문제가 풀렸다.
사이트 번역 더보기 문제 화면 속에는 Accèder au niveau 링크가 보인다. 링크를 클릭하면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여 패스워드 입력하는 창이 뜬다. 값을 잘못 입력하면 잘못된 비밀번호라는 알림창이 뜬다. 창을 닫고 해당 페이지의 소스코드를 확인해보았다. 입력한 패스워드 값이 hihi일 경우 올바른 패스워드라고 출력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시 패스워드 입력 창을 띄워서 hihi를 입력해보았다. 글자가 중간에 하나 깨진건지 모르겠지만 앞에서 본 문구가 출력되었다. Password accept챕, tu peux le valider 그런데 정답 입력공간에는 무엇을 넣으라는 말인지 모르겠다. 생각하다가 hihi를 입력했다. 문제가 풀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