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와 클라이언트
서버 : 서비스 제공
클라이언트 : 서비스 사용
프로토콜 : 컴퓨터와 컴퓨터가 통신할 때,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가 실행할 절차, 규약
===기반기술===
ㅇ 유선 : 이더넷, IEEE 802.11 : 무선
ㅇ 리피터(허브), 브릿지, 라우터 통신 연결장치의 필요와 용도
유선 LAN : CSMA/CD, IEEE 802.3
무선 LAN : CSMA/CA, IEEE 802.11
LAN의 기술 : 이더넷, 토큰버스, 토큰링, FDDI, ATM
데이터 수신 유형
ㅇ 유니캐스트 : 목적지가 하나의 수신자
ㅇ 브로드캐스트 :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가 수신자, 로컬 네트워크로 제한
ㅇ 멀티캐스트 : 특정 그룹의 컴퓨터가 수신자, 라우터를 넘어 다른 네트워크로 전송 가능
CSMA/CD : 충돌 여부를 감지, 백오프, 브로드캐스팅
표준 이더넷 : IEEE 802.3, 10Mbps
고속 이더넷 : IEEE 802.u, 100Mbps
기가비트 이더넷 : IEEE 802.3z, 1Gbps
CSMA/CA
- RTS : 발신 요청
- CTS : 발신 요청 확인. 준비완료 . *RTS,CTS 는 핸드쉐이킹 메시지
- ACK : 데이터 수신 확인 응답
- DIFS : 최소 idle 상태에 있다가 매체접근 시도
- SIFS : 프레임을 받고 바로 응답을 보내는데 필요 한 최소시간
- NAV : 네트워크 할당벡터 타이머. RTS 를 보내는 기기외에 다른 기기 들은 타이머 설정
- 프레임 : 관리프레임 ,제어프레임(RTS,CTS,ACK) 데이터 프레임
블루투스 : IEEE 802.15,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설계된 무선 기수르 2.4GHz
Point-to-Point WAN : 전화망과 같은 공중망에서 이용 가능 회선을 사용해 원격의 두 단말 장치 연결
교환형 광역 통신망 : 백본 네트워크, 넓은 지역(국가)를 대상
리피터 : 물리계층, 신호의 감쇠현상 해결, 신호를 증폭시킴
허브 : 허브에 연결되어 있는 노드 만큼 속도를 나누어 씀, 성형 접속을 위한 다중포트
브리지 : 속도가 같은 노드만 연결, s/w 방식
스위치 : 속도가 다른 장비를 연결, 하드웨어적 방식
라우터 : 패킷 전달 시 발신지와 목적지의 물리주소를 변경한다.
ㅇ 브리지 테이블의 구축
- 수신 프레임의 목적 주소를 보고, 전달할 포트를 결정하기 위한 변환 테이블 구축
ㅇ 포워딩(프레임 전달)
- 브리지는 프레임의 내용, 형식을 바꾸지 않고, 주소만을 보고 해당 포트로 전달
ㅇ 필터링
- 출발지와 목적지 주소가 같은 포트이면 스위치로 전달
- 브리지는 어떤 프레임은 전진시키고 어떤 프레임은 전진시키지 말아야 하는지에 대해 분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어질 수 있음
ㅇ 플러딩
- 물리주소에 대한 포트 정보가 테이블에 없을 때 모든 포트로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트
ㅇ 주소 학습 (MAC 주소 학습)
- 수동으로 일일이 경로를 작성, 관리하지 않고 수신 프레임의 출발지 주소를 보고 브리지 테이블(MAC 주소 테이블)을 구축하여 학습 반영
ㅇ aging
- 일정 시간동안 테이블에서 사용되지 않은 물리 주소는 삭제
스위치 : Layer2~3, 선택적 스태킹
MAC address table : DYNAMIC : Learning과정으로 생성
STATIC : 고정 장비로 변하지 않는 내용
MTU : 1500byte
VLAN : 같은 스위치의 포트들에 연결된 장비들은 모두 같은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브로드캐스트 영역이 커지는 것은 성능에 영향